실천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자
2013년 새해가 밝았다. 우리는 새해를 맞이하면서 한해의 목표를 세운다. 황룡 학우들 중에는 이미 새해의 목표를 세워 오늘부터 실천하고 있는 학우도 있을 것이다. 남학생들은 금연이나 금주를 결심하고 여학생들은 다이어트 계획을 세우는 등 자신을 가꾸기 위한 목표를 세우거나 또는 아르바이트 하기, 열심히 공부해서 성적 올리기, 스펙을 위한 자격증 따기 등 자기 스스로에게
오피니언은 기자칼럼과 독자투고, 그리고 황룡담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2013년 새해가 밝았다. 우리는 새해를 맞이하면서 한해의 목표를 세운다. 황룡 학우들 중에는 이미 새해의 목표를 세워 오늘부터 실천하고 있는 학우도 있을 것이다. 남학생들은 금연이나 금주를 결심하고 여학생들은 다이어트 계획을 세우는 등 자신을 가꾸기 위한 목표를 세우거나 또는 아르바이트 하기, 열심히 공부해서 성적 올리기, 스펙을 위한 자격증 따기 등 자기 스스로에게
시간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금에 대해 이야기하곤 한다. 그것은 바로 소금, 황금, 지금이다. 소금은 음식의 간을 맞추기 위한 것이고 황금은 물질적으로 풍요롭기 위한 것이다. 지금, 현재 흘러가는 이 시간은 소금, 황금과는 달리 돈으로 살 수 없고 눈에 보이지도 않는다. 그러나 시간은 누구나
세계적으로 불투명한 경제·정치적 상황 가운데 2013년 대학교육을 둘러싼 환경 역시 녹녹치 않을 전망이다. 무엇보다 국내 대학들이 직면한 가장 큰 환경변화 요인으로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용 없는 성장 등 불안한 경제환경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대학 구조조정을 위한 평가, 반값 등록금, 취업난 등 대학의 주변여건은 더욱 악화되고
사람들은 대부분 상식적인 수준에서 독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독서의 중요성을 아는 것과 각 개인이 독서를 실천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 책 읽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그에 따른 다양한 활동은 지속적으로 실천되어야 한다. 따라서 영국, 호주, 일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도 ‘독서의 해’를 지정하여 이것이 일회성 행사로
먼저 황룡교양필독서 중에서 이 책을 선택하게 된 계기를 언급하고 싶다. 이 책을 선택하게 된 첫 번째 이유는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의 대선에 앞서 어떤 리더가 우리에게 필요한가에 대한 선견지명을 얻기 위해서이다. 저자가 생각하는 리더를 알아봄으로써 현재의 많은 대선 후보들을 유권자 스스로가 비교 분석 해 볼 수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의 한
아우슈비츠 한 발짝씩 다가간다. 앞서나간 이들은 비명도 지르지 못하고 고기덩어리 목숨으로 건초더미마냥 쌓여만 갔다. 이곳은 요단강. 살아있는 목숨이 죄라면 죄. 죄는 죄로써 씻고 고향으로 돌아가라. 손에 동전만한 기름덩어리 비누를 쥐어주고 몇 번째 죄인의 살덩어리련가 나 역시 누군가의 손바닥 속에서 공포와 환희와 의구심과 깨달음 앞에 결국 무릎을 꿇게 만든다. 샤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