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대인이여! 단결하자
흔히 역사를 거울에 비유한다. 그래서 역사서를 거울 감(鑑)자를 써서 ‘통감(通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의 자치통감이나 우리나라의 동국통감 등이 그 예이다. 역사를 거울이라고 처음 말한 사람은 당태종 이세민이다. 그는 “거울로 내 모습을 비추어보아 옷매무새를 바르게 고칠 수 있는 것처럼, 역사를 거울로 삼아 흥망과 득실을 알
오피니언은 기자칼럼과 독자투고, 그리고 황룡담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흔히 역사를 거울에 비유한다. 그래서 역사서를 거울 감(鑑)자를 써서 ‘통감(通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의 자치통감이나 우리나라의 동국통감 등이 그 예이다. 역사를 거울이라고 처음 말한 사람은 당태종 이세민이다. 그는 “거울로 내 모습을 비추어보아 옷매무새를 바르게 고칠 수 있는 것처럼, 역사를 거울로 삼아 흥망과 득실을 알
‘수습기자’라는 직함을 이름 옆에 달고 내가 쓴 기사가 처음 지면에 실렸을 때 무한한 책임감과 뿌듯함을 느꼈고 앞으로 써나갈 기사에 항상 최선을 다 하겠다 다짐했다. 그 뒤 3년 간 서른 네번 신문을 발행했으며, 백여 번의 마감을 했다. 3년 전 처음으로 기사를 작성하던 나의 밤은 서툴고 엄숙했다. 원고지 세
오늘과 내일 그 사이에 찬 기운이 섞여 마음시린 시험에 들게 하는 11월, 우리 몸이 본격적으로 겨울과 친해져야 할 때이다. 매년 낮밤으로 급격하게 기온이 떨어지면서 낯선 냉기가 피부에 가장 확 와 닿는 시기가 딱 이맘때인 것 같다. 특히, 매년 11월 중,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는 주간에 겨울의 맨얼굴을 처음 마주했던 걸로 기억한다. 올해에는
거짓말과 뻥이 다른 사람에게 사실을 부풀리거나 사실이 아닌 내용을 전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사실 이 두 가지는 의미가 같지 않다. 화자(話者)가 듣는 사람이 믿어주기를 바라면서 하는 것이면 거짓말이 되고 듣는 사람이 믿어주지 않기를 바라며 하는 말은 뻥이 된다. 즉 뻥은 다른 사람을 속일 의도가 없거나 있더라도
예시바에 놓여 있는 책상과 의자 구조도 특이했다. 천 개가 넘는 이곳의 좌석들은 둘 이상이 마주보고 앉도록 놓여져 있었다. 어느 누구도 혼자 공부할 수 없는 구조다. 이렇게 마주보고 있는 좌석들은 전체적으로 한 곳을 향해 둥그렇게 모아져 있었다. -유태인의 공부 中- 도서관은 어떤 공간일까? 조용하고 정숙한 공간일까? 틀린 말은 아니다. 도서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