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문화

문화는 일상 속에 존재하는 활동과 대학생이 참여 가능한 행사를 다루는 코너입니다.

무료 신선이 노닐다 간 섬, 선유도
문화

신선이 노닐다 간 섬, 선유도

▲장자도/사진촬영:이효성기자  서울에서살아온나는배를타본기억 이거의없다.그래서배는단순히선장 만있으면운항될줄알았지만,이번여행 을통해굉장히많은절차들이있다는것 을 깨달았다. 동료 기자들과 같이 선유도 를 여행하며 배운 것들을 독자들에게 알 려 주려고 한다. 선유도 여행은 선박안전기술공단 전북 지부 운항관리센터와 함께했다. 선박안전 기술공단을 아는가? 지금 기사를 통해 처 음 접하는 이들이 다수일 것이다. 나 또한 이번 교육을 통하여 처음

by이효성 선임기자
무료 역사를 잊은 민족은 재생할 수 없다
문화

역사를 잊은 민족은 재생할 수 없다

▲통계출처:서울신문  ▲표출처:교육부    천만영화명량속에는이런대사가있 다. “나중에 후손들이 우리가 이렇게 개고 생한 걸 알기나 할랑가?” 안타깝게도 대 사의 바람과는 다르게 후손들은 그들의 고생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고, 국민의 역 사인식수준은 날이 갈수록 떨어져가고 있다. 최근 불거진 여자아이돌 AOA 멤버 들의 역사인식 논란이 한 예이다. 5월3일AOA의멤버설현과지민은온 스타일

by김효진 기자
문화

입양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한국의 입양문화 1960-70년대 쯤 한국에는 핏줄, 즉 혈 연주의가 깊게 자리해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본도 모르는 아이를 데려다 우 리집제사를물려줄수없다”고말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유교적 관점에서 입양은 자신의 핏줄 이아닌아이가집안의대를잇는것이기 입양의 날이란? 가정의달5월에꼭맞는날인데도사 람들에게 매우 생소한 날이 있습니다. 바 로 입양의 날입니다. 입양의 날은 가족의 의미가확대된요즘같은시대에꼭기념 해야 할 날이지만, 사람들에게는

by이가현 기자
무료 2015년 가을 감성을 자극할 슬프고 아련한 영화
문화

2015년 가을 감성을 자극할 슬프고 아련한 영화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2012년 8월 22일 개봉된「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는 대만 로맨스영화 이다. 내용이 잔잔해 지루할 수도 있지만 사춘기 소년의 엉뚱한 성격과 톡톡 튀는 친구들의 코믹한 감초연기는 한국의 정서와 다른데도 불구하고 웃음을 자아낸다. 또 주인공인 소녀와 소년이 전화를 거는 장면에서 소녀는 소년이

by김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