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지역

지역은 좁게는 군산시, 넓게는 전북의 정치, 사회, 이슈, 행사 등을 취재하는 코너입니다.

무료 새만금과 군산대학의 발전전략
대학

새만금과 군산대학의 발전전략

1991년 11월 새만금방조제사업이 착공된 이래 20년이 지나 당시 태어난 아이들을 ‘새만금동이’라 부르는 시대가 되었다. 지난 기간 새만금사업을 둘러싼 쟁론은 생태환경 및 수질문제와 관련한 해수유통문제 등을 차치하더라도 토지이용계획의 변화에서 잘 드러난다. 새만금사업의 토지이용계획은 1989년 11월 기본계획이 수립될 당시 100% 농지로 출발하여, 2007년 4월에는 농지 72%, 산업 관광용지 28%

by김민영 기자
대학

군산 Smart Vision 합동 세미나 열려

지난 23일, 정보통신기술연구소에서 주최하는 군산 Smart Vision 합동 세미나 “새로운 문명을 여는 도시, 새만금과 Green IT와의 만남”이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군산이 동북아 경제 중심지로서 새로운 문명을 여는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은 새만금 개발과 IT 연계방안 도출, 군산시 스마트 비전 전략

by정은해 선임기자
무료 보령 효나눔복지센터, 농어촌복지 활동가 교육실시
지역

보령 효나눔복지센터, 농어촌복지 활동가 교육실시

      우리 대학(총장: 채정룡)이 수탁 관리하는 보령 효나눔복지센터에서는 광주대학교 참여복지센터와 협력해 지난 27일, 효나눔센터 대강당에서 농어촌의 다양한 복지사업 활성화를 위한 농어촌복지 활동가 양성교육을 실시했다. 이날 교육은 보령시를 비롯해 서천, 청양, 홍성 등 4개 시군지역의 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 생활보호사 등 지역 복지 담당자 6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by김선주 선임기자
무료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채만식 『탁류』
지역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채만식 『탁류』

       군산시에서 ‘탁류길’을 조성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탁류길’에는 채만식의 소설 「탁류」의 배경이 되었던 공간뿐만 아니라 영화 촬영지, 일본강점기의 가옥, 부윤 관사, 동국사와 같은 장소와 건축물을 연계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탁류」(조선일보에 1937년 10월 12일부터 1938년

by 강유진 기자